맨위로가기

신희섭 (신경과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희섭은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코넬 대학교에서 유전학 및 세포 생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한국 최초로 유전학을 뇌과학 연구에 적용했으며, 간질 및 마비 관련 유전자를 발견하여 주목받았다. 신희섭은 KIST 뇌과학센터 소장,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초대 단장 등을 역임했으며, 신경 세포의 칼슘 역학 변화가 뇌 기능을 조절하는 방식을 연구했다. T형 칼슘 채널의 기능을 규명하여 통증 및 결신 발작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프랭크 래핀 호스폴 주니어 상, 호암상,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자상 등을 수상했으며, 미국 국립 과학원 외국인 회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등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 - 김은준
    김은준은 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이자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으로, 뇌과학 분야, 특히 시냅스 기능과 관련된 뇌 질환 연구에 기여하며 ADHD 및 자폐증 관련 연구를 통해 질환 기전 규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네이처, 셀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 아산상, 포스코 청암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 - 강봉균 (신경생물학자)
    강봉균은 에릭 캔들 교수의 제자로서 군소, 쥐 모델을 이용한 학습과 기억, 신경정신질환 연구를 수행하고 Nature, Science, Cell 등 주요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한 신경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황준묵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와 소설가 한말숙의 아들이기도 한 대한민국의 수학자 황준묵은 기하학 분야에서 난제를 해결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국제 수학자 대회 초청 강연과 기조 강연,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과 호암상 과학상 수상, 아벨상 심사위원 위촉, 그리고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복소기하학 연구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김광수 (화학자)
    김광수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IBM, 럿거스 대학교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울산과학기술원 석좌교수 및 초고기능성 소재 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하며, 분자간 상호 작용, 나노물질 연구 등을 진행하고,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및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상을 수상한 화학자이다.
  • 의왕시 출신 - 이희승
    이희승은 국어학자, 교육자, 언론인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었고, 서울대학교 교수로 국어 연구와 사전 편찬에 기여했으며, 『국어대사전』 발간, 동아일보 사장, 대구대학교 총장,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학술원 부회장 등을 지내며 국어 교육 발전에 힘썼으며, 시집 《박꽃》, 수필집 《딸깍발이》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의왕시 출신 - 윤호영
    윤호영은 내손초-구로중-낙생고-중앙대를 졸업하고 2008년부터 2023년까지 원주 DB 프로미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2010-2011 시즌 이성구기념상, 2011-2012 시즌 KB국민카드 프로농구 MVP 등 다수의 MVP를 수상한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신희섭 (신경과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희섭 신
이름신희섭
출생일1950년 7월 29일
출생지경기도 의왕시
국적대한민국
학문 분야
분야신경과학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코넬 대학교
알려진 업적T형 칼슘 채널
경력
주요 소속 기관한국과학기술원
기초과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화이트헤드 생의학연구소
수상
수상 내역AFH 강연상 (2004년)
호암상 과학 부문 (2004년)
듀폰상 (2004년)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2006년)
한국어 이름 정보
한글신희섭
한자!
로마자 표기Sin Huiseop

2. 학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면역학 박사 (1974년)[4]

코넬 대학교 유전학 및 세포 생물학 박사 (1983년)

3. 경력

코넬 대학교를 졸업한 신희섭은 1985년까지 슬론-케터링 암 연구소에서 유전학 연구 조교로 일했다. 그 후 매사추세츠로 옮겨 MIT 생물학과 부교수와 화이트헤드 연구소 부연구원을 겸임했다.[5] 1991년에는 한국으로 돌아와 포스텍 생명과학과 부교수로 재직했으며, 이후 정교수가 되어 10년 동안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포스텍 생명공학연구센터 소장과 국가 칼슘 및 학습 연구센터 소장도 겸임했다. 그는 한국 최초로 유전학을 뇌과학 연구에 적용한 연구자였으며, 1997년 간질 및 마비와 관련된 유전자 PLC-β1과 PLC-β4를 발견하여 해외의 주목을 받았다.[5]

2001년 포스텍을 떠난 그는 KIST로 가서 수석연구원으로 10년 동안 재직했다. 2005년에는 KIST 뇌과학센터 소장이 되었고, 이후 뇌과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2012년에는 대전으로 옮겨 KAIST에 위치한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의 초대 단장이 되었다.[6] 2018년 이창준이 연구단 공동 단장이 되면서 연구단이 확장되었다. 이창준은 인지 글리아 과학 그룹을 이끌었고, 신희섭은 2020년 은퇴할 때까지 사회신경과학 그룹을 이끌었다.[7][8][9] 은퇴 후에도 연구단에서 연구 석학으로 연구를 계속했다.[3]

4. 연구

신희섭이 키스톤 심포지아 사회적 행동의 신경회로에서 연설하고 있다.


신희섭은 신경세포의 칼슘 역학 변화가 뇌 기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연구하며, 생체 내 유전자 역할 및 세포 내 칼슘 역학 조절에 중요한 유전자 기능을 밝혀왔다.[10] 그는 유전자 변형 생쥐를 제작하여 분자, 세포, 생리학, 행동 수준에서 분석을 진행한다.[10] 특히 전압 개폐형 칼슘 채널의 기능을 정상 및 병리학적 뇌 상태에서 규명하는 데 주력했다.

a1G T형 칼슘 채널 돌연변이 생쥐 연구는 뇌 시상의 T형 채널이 감각 정보를 대뇌 피질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는 증거를 제공했다.[11] 시상은 체성 감각 정보가 대뇌 피질에 도달하기 위한 관문이며, 이 차단 기능이 소실된 돌연변이 생쥐는 내장 통증 반응이 향상되었다.

또한, 해당 돌연변이 생쥐는 결신 발작에 대한 저항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상이 뇌의 중심에서 감각 정보를 조절하여 의식 상태를 제어하며, T형 칼슘 채널이 이 기능의 핵심 요소임을 시사한다.

4. 1. 주요 연구 분야

신희섭의 연구는 신경 세포의 칼슘 역학 변화가 뇌 기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생체 내에서 일련의 유전자가 수행하는 역할인 생리학적 역할을 정의해 왔으며, 이 유전자의 기능은 세포 내 칼슘 역학 조절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신희섭은 먼저 특정 유전자에 대해 유전자 변형 생쥐를 생성한 다음, 분자, 세포, 생리학적, 행동 수준에서 생쥐를 분석한다.[10] 그는 정상적인 뇌 상태뿐만 아니라 병리학적 뇌 상태에서 전압 개폐형 칼슘 채널의 기능을 정의하는 데 특히 관심을 가져왔다.

특히, a1G T형 칼슘 채널에 대한 돌연변이 생쥐에 대한 그의 연구는 뇌의 시상에 있는 T형 채널이 신체에서 유래된 감각 정보를 대뇌 피질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는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했다.[11] 시상은 말초에서 얻은 모든 체성 감각 정보가 대뇌 피질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관문이며, 여기서 지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차단을 잃은 T형 채널 돌연변이 생쥐는 내장 통증에 대한 반응이 향상되었다.

신희섭은 또한 동일한 돌연변이 생쥐가 비정상적인 EEG 소견과 함께 나타나는 짧은 의식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인 결신 발작에 저항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상이 뇌의 중심이며, 외부 세계에서 피질에 도달하는 감각 정보를 조절하여 의식 상태를 제어하고, T형 칼슘 채널이 이 게이팅 기능의 핵심 요소임을 나타낸다.

4. 2. 연구 성과

신희섭은 신경 세포의 칼슘 역학 변화가 뇌 기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연구한다. 그는 생체 내에서 일련의 유전자가 수행하는 역할인 생리학적 역할을 정의해 왔으며, 이 유전자의 기능은 세포 내 칼슘 역학 조절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신희섭은 먼저 특정 유전자에 대해 유전자 변형 생쥐를 생성한 다음, 분자, 세포, 생리학적, 행동 수준에서 생쥐를 분석한다.[10] 그는 정상적인 뇌 상태뿐만 아니라 병리학적 뇌 상태에서 전압 개폐형 칼슘 채널의 기능을 정의하는 데 특히 관심을 가졌다.

특히, a1G T형 칼슘 채널에 대한 돌연변이 생쥐에 대한 그의 연구는 뇌의 시상에 있는 T형 채널이 신체에서 유래된 감각 정보를 대뇌 피질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는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했다.[11] 시상은 말초에서 얻은 모든 체성 감각 정보가 대뇌 피질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관문이며, 여기서 지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차단을 잃은 T형 채널 돌연변이 생쥐는 내장 통증에 대한 반응이 향상되었다.

신희섭은 또한 동일한 돌연변이 생쥐가 비정상적인 EEG 소견과 함께 나타나는 짧은 의식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인 결신 발작에 저항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상이 뇌의 중심이며, 외부 세계에서 피질에 도달하는 감각 정보를 조절하여 의식 상태를 제어하고, T형 칼슘 채널이 이 게이팅 기능의 핵심 요소임을 나타낸다.

5.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83년프랭크 래핀 호스폴 주니어 상, 코넬 대학교 의과대학원
1994년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회원
1997년금호과학상, 금호문화재단
1997년한탄생명과학상, 한탄재단
1998년과학기술 우수논문상, 과학기술부
2000년함춘의학상, 함춘재단
2003년이달의 과학자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2004년이달의 과학기술자상, 과학기술부
2004년듀폰상, 듀폰 재단
2004년대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4년호암상, 호암재단[27][28]
2004년국민훈장 동백장[29][30]
2004년AHF 강연상, 캘거리 대학교, 캐나다
2005년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자상[31]
2005년국제 행동 및 신경 유전학회 회장
2006년대한민국 국가과학자, 교육과학기술부
2008년동문상, 코넬 대학교
2009년미국 국립 과학원 외국인 회원
2010년대한민국학술원 회원
2013년스타 교수상,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년핫키스 뇌 연구소 강연상, 캘거리 대학교
2018년미국 과학 진흥 협회 펠로우
2020년프랑신 샤피로 상, EMDR-유럽 학회
2021년국제 생리학 연맹, 국제 생리학 연맹 학술원 펠로우


참조

[1] 웹사이트 "신희섭 연구인, 대학교수" https://people.searc[...] 2019-09-17
[2] 웹사이트 "뇌과학은 미래 성장동력… 정부 적극 나서야" http://www.segye.com[...] 2019-08-16
[3] 웹사이트 The most 'CHALLENGING' 10 years of the IBS https://www.ibs.re.k[...] 2022-09-27
[4] 웹사이트 'Full text of "Cornel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cal Sciences Announcement"'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2019-08-16
[5] 웹사이트 From advisor and advisee to fellow directors: Exploring the mysteries of the brain https://www.ibs.re.k[...] 2020-09-22
[6] 웹사이트 Director Dr. Hee-Sup Shin https://ccs.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9-08-16
[7] 웹사이트 Cognitive Glioscience Group https://www.ibs.re.k[...] 2019-08-16
[8] 웹사이트 "'국가과학자 1호' 신희섭박사, 연구현장 떠나" http://vip.mk.co.kr/[...] 2020-12-28
[9] 웹사이트 "떠나는 IBS 1호 연구단장 신희섭…국내 최초로 뇌과학에 유전학 도입" https://news.mt.co.k[...] 2020-12-28
[10] 논문 A Mouse Model for Observational Fear Learning and the Empathetic Response 2011-10-01
[11] 논문 T-type Ca2+ channels and absence epilepsy 2006-06-13
[12] 웹사이트 "[건강한 인생] 통증억제 유전자 발견해 듀폰상 받는 신희섭 박사" https://news.naver.c[...] The Korea Economic Daily 2019-08-16
[13] 웹사이트 '(1부·⑤) "배고프다고 씨감자 먹어선 안돼.. 경제 어려워도 기초과학 키워야"' http://www.fnnews.co[...] 2019-08-16
[14] 웹사이트 호암상, 신희섭 KIST박사등 4명 선정 https://news.naver.c[...] Maeil Business Newspaper 2019-08-16
[15] 웹사이트 KIST, 첫 억대연봉자 탄생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9-08-16
[16] 웹사이트 정부출연硏 우수연구자 KIST 신희섭씨등 포상 https://news.naver.c[...] The Financial News 2019-08-16
[17] 웹사이트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3명 선정" https://world.kbs.co[...] 2023-11-16
[18] 웹사이트 SHIN Hee-Sup, MD & PhD http://www.ibs-sympo[...]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9-08-16
[19] 웹사이트 "[대전/충남]UST '스타교수' 첫 선정" http://www.donga.com[...] 2019-09-18
[20] 웹사이트 Hee-Sup Shin Center for Cognition and Sociality, Institute for Basic Science, Korea http://www.ibro2019.[...] 2019-08-16
[21] 논문 2018 AAAS Fellows approved by the AAAS Council 2018-11-30
[22] 웹사이트 Francine Shapiro Award 2022-08-11
[23] 웹사이트 Academy 2022-08-11
[24] 뉴스 인물검색 http://cdb.chosun.co[...] 조선일보
[25] 웹인용 The most 'CHALLENGING' 10 years of the IBS https://www.ibs.re.k[...] 2022-09-27
[26] 웹인용 "뇌과학은 미래 성장동력… 정부 적극 나서야" http://www.segye.com[...] 2019-08-16
[27] 웹인용 '(1부·⑤) "배고프다고 씨감자 먹어선 안돼.. 경제 어려워도 기초과학 키워야"' http://www.fnnews.co[...] 2019-08-16
[28] 웹인용 호암상, 신희섭 KIST박사등 4명 선정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9-08-16
[29] 웹인용 KIST, 첫 억대연봉자 탄생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9-08-16
[30] 웹인용 정부출연硏 우수연구자 KIST 신희섭씨등 포상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9-08-16
[31] 웹인용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3명 선정" https://world.kbs.co[...] 2023-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